하프모어, 추가 투자 유치로 누적 35억원 투자금 확보…美 전역 확대


실리콘밸리 소재 한인 핀테크 스타트업 하프모어(Halfmore)가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누적 35억 원(약 251만 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확보했다고 14일 밝혔다. 

Halfmore1 - 와우테일

이번 투자에는 소프트뱅크그룹(SoftBank Group)의 자회사이자 AI 투자 전문 벤처캐피털인 딥코어(DEEPCORE)가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소비자 금융 플랫폼 소파이(SoFi) 공동창업자 이안 브래디(Ian Brady)와 댄 맥클린(Dan Macklin), 제이엠 휴버 코퍼레이션(J.M. Huber Corporation) 전 회장 피터 프랜시스(Peter Francis), 글로벌 테크 기업 몰로코(Moloco) 공동창업자 박세혁도 투자에 합류했다.

하프모어는 이번 자금을 기반으로 미국 내 서비스 확장과 AI 기반 가족 재무 관리 플랫폼 고도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하프모어는 초부유층만 활용해 온 자녀 자산관리 방식을 일반 가정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플랫폼이다. 부모가 자녀를 가족 고용 구조에 등록해 근로소득을 발생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아동용 은퇴 계좌 ‘커스토디얼 로스 IRA(Custodial Roth IRA)’ 개설을 지원한다. 법률 및 세무 절차 전반을 AI로 자동화했으며,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12개월 만에 약 700억 원 규모 은퇴 자산을 창출하며 미국 은퇴 위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투자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하프모어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결과로, 특히 AI 분야에 특화된 벤처캐피털로서 유망한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적극 투자하는 딥코어가 리드로 참여한 점은 의미가 크다. 이번 투자는 하프모어가 소프트뱅크 그룹 주식회사와 장기적 협업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소파이 공동창업자 이안 브래디와 댄 맥클린이 개인 자격으로 동시에 투자에 나선 것도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두 공동창업자의 참여는 하프모어의 비즈니스 모델이 독창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들은 어드바이저로도 합류해 하프모어의 전략적 성장도 지원할 예정이다.

딥코어 투자 담당자는 “하프모어는 초기 단계에서 강력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은퇴 자산을 넘어 더 넓은 금융 웰니스로 비전을 확장하는 장기적 관점을 갖추고 있어, 아동 장기 금융 미래를 위한 기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라며 투자 배경을 밝혔다. 

이안 브래디는 “하프모어 창업자들은 집중력과 실행력을 드물게 모두 겸비했으며, 기술이 금융 서비스를 재편할 수 있다는 신념과 맞닿은 실질적 접근 방식을 보여줬다”며 높이 평가했다.

현재 미국 14개 주에서 서비스를 운영 중인 하프모어는 올해 안에 20개 주, 2년 내에 미국 전역 51개 주로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안에는 교육비 전용 저축 계좌 상품을 출시하고, 내년에는 아동 대상 투자 상품과 헬스케어와 교육비 결제를 연계한 서비스로 확장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자녀 양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출을 통합 관리하는 ‘가정 지출 금융 운영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다수의 핀테크 기업과 협업을 논의하고 있으며, 연내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주현 하프모어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한인 창업팀이 미국 현지에서 만들어낸 성과와 가능성을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인정받은 의미 있는 계기”라며 “앞으로도 AI와 핀테크 기술을 접목해 모든 가정이 자녀 양육 과정에서 겪는 재정적 고민을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