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딥테크 스타트업 252개사 선정 지원…혁신창업 생태계 구축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전략형 과제에 스타트업 252개사를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중기부에 따르면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R&D(연구·개발)지원을 통해 기술창업 활성화 및 창업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다. 창업 7년 이하이면서 매출액 20억원 미만의 스타트업을 지원한다.
그 중 ‘전략형 사업’은 미래성장동력 창출 가능성과 스타트업 적합성을 고려한 전략 분야를 선정해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유망 스타트업에 2년간 최대 3억원의 기술개발 비용을 지원한다.
올해 상반기에 접수된 467개 과제의 기술분야별 특성에 따라 연구 개발평가단을 구성하고, 전략분야별 기술성·사업성 등을 엄격히 심사해 252개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252개사의 특징을 보면 지역별로는 수도권 기업이 절반 이상(58.3%)을 차지했다. 업력은 창업 1~3년 사이의 기업이 전체의 40.5%를 차지했다.
분야별로 디지털 혁신 98개, 그린 58개, 성장동력 55개, 소재부품장비 26개, 대스타플랫폼 10개, 백신원부자재 5개 과제가 선정됐다.
디지털혁신 분야는 메타버스 관련(공간컴퓨팅, 디지털미디어) 과제가 23.5%, 무선통신 관련(지능형 사물인터넷(AIoT),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과제가 23.5%, 데이터 관련(고객데이터플랫폼(CDP), 행동인터넷(IoB)) 과제는 19.4%가 선정됐다.
그린 분야는 미세먼지 저감기술, 스마트 수질 관리 등이 포함된 ‘스마트시티’ 분야(20.7%)와 최근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폐플라스틱·폐스티로폼의 재활용 기술 등 ‘자원순환 및 에너지 재활용’ 분야(20.7%)가 전체 과제의 41.4%를 차지했다.
성장동력 분야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중소기업 성장기반’ 9대 분야 스타트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분야다. 전자회로, 센서 등 전기전자부품(23.6%), 미래차용 친환경·경량 부품 등 복합소재(16.4%) 관련 과제가 다수 선정됐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는 이차전지, 라이더 등 전기전자(30.8%), 기계금속(23.1%) 과제가 많이 선정됐다.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과제는 연계한 10개 과제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과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백신 개발, 백신 보관·유통 등 백신 원부자재 관련 스타트업 지원(5개)을 통해 국산 백신원료·생산부품·장비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인공지능(AI)·빅데이터·메타버스 등 신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이번 선정된 기업 외에 5월 상반기 디딤돌과제 450개사를 선정하고 하반기에는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추천 과제(320개), 사업연계과제(130개), BIG3를 포함한 전략형 과제(316개) 등 766개사를 추가 선정해 올해 총 1468개사의 스타트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ICT 유니콘 육성사업’에 15개 기업 선정
- 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2022년도 운영사 모집
- 중기부, 세계 선도 수출 ‘글로벌 강소기업’ 200개사 선정…4년간 맞춤 패키지 지원
- 중기부, CJ대한통운과 손잡고 중소기업 해외 진출 지원…’자상한 기업’ 선정
- 중기부, 350억 규모 테크브릿지 사업 시행…소·부·장 기술자립 지원 참가사 모집(5월11일~25일)
- 중기부, 최대 1억원 지원 ‘수출이용권 사업’ 2차 참여기업 모집(~5월10일)
- 지역 알리고 폐기물 재활용…중기부, 지역가치 창업가 170개팀 선정
- 투자형R&D, 35개 유망 벤처기업에 총 455억 투자…중기부 “기술형 벤처 키운다”
- “혁신 벤처·창업기업 찾는다” 벤처창업유공포상 대상자 모집(~6월10일)
- 창업진흥원-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 기반 재도전 기업 육성에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