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창업 33만3372개, 전년비 4.4% 감소
Reading Time: < 1 minute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1~3월(누계) 창업기업동향’을 발표했다.
2023년 1~3월 창업은 3高(高물가, 高금리, 高환율) 등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의 영향 지속하에, 전년동기대비 4.4%(15,360개) 감소한 33만 3,372개로 집계되었다.
특히, 작년에 부동산경기 하락 등으로 부동산업의 창업이 전년대비 31,872개(47.9%) 대폭 감소한 것이 1분기 창업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고, 부동산업 제외시, 올해 1분기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6,512개(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지난 정부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부동산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창업증감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점차 그 비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부동산업 창업 수와 전체창업 중 비중은 2020년 20만5122개(44.3%)에서 2021년 7만8749개(21.8%), 2022년 6만6473개(19.1%)로 지속 감소하고 있다.
1분기 창업기업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자상거래 증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 완화 등으로 같은 기간 숙박 및 음식점업(25.6%↑) 등은 전년대비 신규창업 수가 증가했다.
도소매업(7.9%↑), 정보통신업(13.4%↑), 전기⸱가스⸱공기(49.4%↑), 사업시설관리(7.6%↑), 교육서비스업(9.0%↑), 예술⸱스포츠⸱여가업(14.3%↑), 개인서비스업(6.0%↑) 등도 증가한 업종으로 나타났다.
금리인상, 수출감소, 소비자 물가상승 등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제조업(14.0%↓), 건설업(9.4%↓) 등에서 전년대비 창업이 감소했다.
이 밖에 부동산업(47.9%↓), 농⸱임⸱어업 및 광업(6.4%↓), 수도⸱하수⸱폐기(4.8%↓), 운수 및 창고업(13.5%↓), 금융 및 보험업(36.5%↓), 전문⸱과학⸱기술(10.7%↓), 보건⸱사회복지(12.4%↓) 등도 창업이 줄어들었다.
1분기 기술기반 창업은 6만2299개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0.2%(100개)↓)했다. 창업기업 수는 역대 두 번째로 높았지만, 전체 창업에서 기술기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0.8%포인트 상승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 네이버, “D2SF 투자 스타트업 기업가치 4조원 달해”
- 상반기 창업 65만개, 전년동기비 6.5% 감소…부동산 분야 급감
- “투자유치 시 가장 큰 고충은 실적 위주 보수적 투자심사” 벤처협
- 국내 중소기업 771만개, 전체 기업의 99.9% ‘역대 최고’
- 코스포 “의사·약사·환자 80%,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개선 필요”
- Korean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lines in H1 2023, but Still Up From Pre-COVID Levels
- 올 상반기 벤처투자 4.4조원 · 펀드결성 4.6조원, 전년비 절반 수준
- 쿠팡, 7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종합몰 앱’ 1위
- 한국딜로이트그룹 “글로벌 미디어·엔터 시장 매년 9.5% 성장”
- 벤처협, ‘글로벌 벤처기업 현황 및 동향조사’ 발표 “10곳 중 8곳 글로벌 진출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