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G3 도약 위해 국가자산 총동원…GPU 1.8만장 확보”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주최로 제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의를 개최하고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역량 강화 방안'(AI인프라·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3rd Korea AI Committee - 와우테일

정부는 인공지능(AI) 3대 강국(AI G3) 도약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WBL·가칭)를 추진하고 AI인재 양성 체계도 고도화해 국가 AI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번 3차 위원회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하 최상목 권한대행)을 비롯, 정부·민간위원과 네이버, 모레, 라이너 등 4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민간전문가 발제를 시작으로, 관계부처 안건 발표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1 3 - 와우테일

최상목 권한대행은 모두발언에서 “글로벌 AI환경이 급변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 국가 AI역량 강화를 빠르게 추진해야 할 중대한 시점”이라며, “정부는 빠른 시일내에 세계 최고수준의 AI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AI 핵심인재 양성과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AI 활용과 산업화에서 세계 1등이 될 수 있도록 AI 스타트업 육성과 시장 창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차세대AI모델 개발 △AI전환 가속화 등 3대 추진전략과 세부 6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국가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가동한다. 기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확충 계획과 함께 민간 AI 컴퓨팅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강화한다. 이에 따라 AI를 조세특례제한법 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첨단 AI 연구·인력개발(R&D 등·우대 공제율 30~50%), AI 통합투자(인프라 등·우대 공제율 15~35%)를 세제지원 대상으로 확대한다. 전력·입지·시설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3 1 - 와우테일

국산 AI 반도체를 토대로 글로벌 수준의 개방형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 기술생태계를 조성해 국산 AI반도체 성장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인 ‘WBL’를 추진해 독자적 AI 모델 경쟁력을 확보한다. WBL 개발을 위해 AI 정예팀을 선발하고, 단시간에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데이터, GPU 등 핵심 인프라를 전폭 지원하기로 했다. 대규모 경진대회인 ‘글로벌 AI 챌린지’도 열어 최고 인재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생성형 AI를 넘어 범용 AI(AGI)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1조 원에 달하는 기술개발도 추진하며 이와 관련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고급 AI 인재 양성체계 고도화를 위해 지난해 개소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을 영미권을 넘어 유럽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교사, 교재, 수업 없이 실전형 혁신 교육을 지원하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확대하고, 기업과 대학이 공동으로 설립하는 ‘기업·대학 협력형 AX 대학원’ 신설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장의 시급한 AI컴퓨팅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6년 상반기까지 국가AI컴퓨팅센터, 슈퍼컴 6호기에 총 1.8만장 규모의 컴퓨팅 자원(고성능 GPU)을 확보한다. 이와 함께 AI 밸류체인 전반에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전력・입지 관련 제도개선 등으로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민간투자를 활성화한다. 또한,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통해 국산 AI반도체와 AI 모델을 패키지로 실증하고, AI반도체 HW-SW기술력 강화를 지원한다.

AI 컴퓨팅 인프라와 한국형 AI 모델과 인재를 바탕으로 국가 AI전환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독자적 특화 데이터를 학습한 생성형 AI를 △교육(AI 디지털교과서 확산) △의료(맞춤형 치료·건강관리 서비스 확산) △미디어·문화(창작 활동 보조 및 영상 편집 AI 서비스 개발·실증) △법률(대국민 법률 정보제공‧서류작성 지원 및 전문가 업무보조 AI 서비스 개발·실증) △학술(학술 활동 지원 AI 서비스 개발·실증) △재난·안전(AI CCTV 활용성 제고 및 국산 AI 반도체 확산) △공공(협업 기반 공공 AI 서비스 도입·확산) 등에 적용해 부처 협력형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우리 대응이 1년 늦어지면 경쟁력은 3년이 뒤처진다는 각오로 AI 컴퓨팅 인프라와 핵심인재 육성, 확보에 전폭적이고 속도감 있는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 1 - 와우테일
4 1 - 와우테일

오늘 발표된 자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공유하기

답글 남기기